급여명세서를 보면 분명 월급은 300만 원인데, 입금된 금액은 그보다 훨씬 적죠.
‘도대체 뭐 때문에 이렇게 많이 빠지는 걸까?’ 생각해보신 적 있으신가요?
이 글에서는 직장인의 월급에서 빠지는 **소득세, 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 등 주요 공제 항목과 세금 계산법**을 쉽게 정리해드립니다.
2025년 기준 실제 월급 공제 구조를 알고 싶은 분들께 도움이 될 거예요.
1. 월급에서 공제되는 세금은 어떤 것이 있을까? 🧐
월급에서 자동으로 공제되는 세금은 크게 **소득세, 지방소득세,
4대 보험료(국민연금, 건강보험, 장기요양보험, 고용보험)**로 나뉩니다.
🔹 1) 소득세 (근로소득세)
✅ 근로소득에 부과되는 직접세로, 과세표준에 따라 누진세율 적용
✅ 연말정산을 통해 1년간 납부한 세금을 정산 후 환급 또는 추가 납부 가능
✅ 급여 수준이 높을수록 세율이 높아짐
🔹 2) 지방소득세
✅ 소득세의 10%를 별도로 납부
✅ 지방정부(시·군·구)에서 걷는 세금
✅ 소득세와 함께 원천징수되므로 별도 납부할 필요 없음
🔹 3) 4대 보험료 (사회보험)
직장인은 **4대 보험(국민연금, 건강보험, 장기요양보험, 고용보험)**을 의무적으로 납부해야 합니다.
✅ 국민연금: 월급의 4.5% (근로자 부담) → 노후 연금으로 지급
✅ 건강보험: 월급의 3.545% (근로자 부담) → 의료비 혜택 제공
✅ 장기요양보험: 건강보험료의 12.81% 추가 공제 → 노인 장기 요양 서비스 지원
✅ 고용보험: 월급의 0.9% (근로자 부담) → 실업급여, 고용안정기금 지원
💡 사업주도 동일한 비율을 부담하지만, 근로자는 본인 부담분만 납부.
2. 월급 소득세 계산법 🧮
🔹 1) 소득세 계산 기본 원리
소득세는 월급(과세표준)에 따라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.
과세표준 (연봉 기준) | 세율 | 누진공제 |
1,400만 원 이하 | 6% | - |
1,400만 원 초과 ~ 5,000만 원 이하 | 15% | 126만 원 |
5,000만 원 초과 ~ 8,800만 원 이하 | 24% | 576만 원 |
8,800만 원 초과 ~ 1억5천만 원 이하 | 35% | 1,636만 원 |
1억5천만 원 초과 ~ 3억 원 이하 | 38% | 2,596만 원 |
3억 원 초과 ~ 5억 원 이하 | 40% | 3,796만 원 |
5억 원 초과 | 42% | 6,796만 원 |
💡 소득세는 단순히 세율을 곱하는 것이 아니라, 누진공제를 적용하여 계산해야 함.
🔹 2) 실질적인 월급 소득세 계산 예시
예를 들어, **연봉 3,600만 원(월급 300만 원)**을 받는 직장인의 소득세를 계산해 보겠습니다.
✅ 과세표준:
- 연봉 3,600만 원에서 근로소득공제 (연봉의 약 26%) 차감 → 약 2,664만 원
- 공제 후 과세표준 구간: 1,400만 원 초과 ~ 5,000만 원 이하 (15% 구간)
✅ 소득세 계산:
1,400만 원 이하 부분: 1,400만 원 × 6% = 84만 원
나머지(2,664만 원 - 1,400만 원): 1,264만 원 × 15% = 189만 6천 원
총 소득세: 84만 원 + 189.6만 원 - 126만 원(누진공제) = 약 147.6만 원
✅ 월 소득세:
147.6만 원 ÷ 12개월 = 약 12.3만 원
💡 연봉에 따라 세율과 공제액이 다르므로, 본인의 연봉을 적용해 계산 필요.
3. 실수령액 계산 및 절세 전략 💡
소득세와 4대 보험이 공제되면 실제로 받는 월급(실수령액)은 예상보다 줄어듭니다.
하지만 효과적인 절세 전략을 활용하면 실수령액을 늘릴 수 있습니다.

🔹 1) 실수령액 계산 예시
연봉 3,600만 원(월급 300만 원)의 직장인을 기준으로 실수령액을 계산해 보겠습니다.
✅ 세금 및 4대 보험 공제액 계산
공제 항목 | 공제율 | 예상 공제액 |
국민연금 | 4.50% | 13.5만 원 |
건강보험 | 3.55% | 10.6만 원 |
장기요양보험 | 건강보험료의 12.81% | 1.4만 원 |
고용보험 | 0.90% | 2.7만 원 |
소득세 | 누진세율 적용 | 약 12.3만 원 |
지방소득세 | 소득세의 10% | 약 1.2만 원 |
총 공제액 | 약 41.7만 원 |
✅ 실수령액 = 300만 원 - 41.7만 원 = 약 258.3만 원
💡 본인 연봉에 맞춰 계산하면 자신의 실수령액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습니다.
4. 월급 실수령액을 늘리는 절세 전략 💡
🔹 1) 연말정산 공제 항목 적극 활용
✅ 신용카드 vs 체크카드 공제 – 체크카드 사용 시 소득공제율이 높음(30% vs 15%).
✅ 교육비 & 의료비 공제 – 본인 및 부양가족의 교육비, 의료비 지출을 공제 신청.
✅ 월세 세액공제 – 연봉 7천만 원 이하 무주택자는 월세 공제 가능.
✅ 전세자금대출 이자 공제 – 무주택 근로자의 경우 소득공제 혜택 활용.
🔹 2) 비과세 혜택 활용하기
✅ 식대 비과세(월 10만 원) – 회사에서 식대를 현금 지급하면 비과세 혜택 적용.
✅ 자녀 수당 비과세 – 자녀 1인당 월 20만 원까지 비과세 가능.
✅ 연금저축 & IRP 계좌 활용 – 연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혜택.
✅ ISA(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) 활용 – 금융소득에 대한 세제 혜택 제공.
5. 월급 관리 & 재테크 전략 🚀

🔹 1) 월급 통장 쪼개기
✅ 생활비 통장 – 고정비(월세, 공과금, 식비) 지출 관리.
✅ 저축 통장 – 급여의 20~30%를 저축 및 투자 전용으로 분리.
✅ **비상금 통장** – 갑작스러운 지출을 대비한 최소 3~6개월 생활비 확보.
✅ 투자 통장 – ETF, 적립식 펀드 등 투자 상품 운영.
🔹 2) 고정 지출 최적화
✅ 통신비 절감 – 알뜰폰 요금제 전환으로 연 30만 원 이상 절약.
✅ 보험료 점검 – 불필요한 보험 해지 또는 갱신 시 보장 범위 재설정.
✅ 구독 서비스 정리 – 사용하지 않는 OTT, 멤버십 서비스 해지.
🔹 3) 추가 수입 창출
✅ 부업 & 프리랜서 활동 – 블로그, 스마트스토어, 유튜브 등 온라인 수익 창출.
✅ 정부 지원금 활용 – 근로장려금, 청년 내일 채움공제 등 정부 혜택 적극 활용.
✅ 소액 투자 병행 – 예적금 외에도 ETF, 리츠(REITs), P2P 투자 등으로 자산 증식.
6. 결론: 스마트한 세금 관리로 실수령액 극대화! 💡
소득세와 4대 보험 공제를 이해하고, 절세 전략을 활용하면 실수령액을 늘릴 수 있습니다.
✅ 실수령액을 늘리는 핵심 체크리스트
☑️ 연말정산을 활용하여 소득공제 항목을 극대화한다.
☑️ 비과세 혜택이 있는 금융상품을 적극 활용한다.
☑️ 고정 지출을 줄이고, 월급을 효율적으로 분배한다.
☑️ 추가 수입원을 개발하여 세후 소득을 증가시킨다.
☑️ 정부 지원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재정적 부담을 완화한다.
📌 소득세를 이해하고 절세 전략을 실천하면 월급에서 손에 남는 돈을 더욱 늘릴 수 있습니다.
지금부터 스마트한 재무 관리를 시작하세요!
2025.03.09 - [분류 전체보기] - 퇴직금 계산법과 수령 방법 - 2025년 최신 가이드 💰
퇴직금 계산법과 수령 방법 - 2025년 최신 가이드 💰
퇴직금은 근로자가 일정 기간 근무한 후 퇴직할 때 지급받는 중요한 재산입니다. 하지만 퇴직금이 어떻게 계산되는지, 언제 받을 수 있는지, 세금은 얼마나 내야 하는지에 대해 정확히 아는 사
truerichway.com
2025.03.08 - [분류 전체보기] - 연봉 3,000만 원 VS 5,000만 원 실수령액 차이는? 💰
연봉 3,000만 원 VS 5,000만 원 실수령액 차이는? 💰
많은 직장인들이 연봉 협상을 앞두고 “연봉이 올라가면 실제로 얼마나 받을까?” 하는 궁금증을 가집니다. 단순히 연봉이 3,000만 원에서 5,000만 원으로 증가한다고 해서 실수령액도 그만큼 증
truerichway.com
2025.03.09 - [분류 전체보기] - 월급 가압류, 차압 당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? 현실적인 대응 방법 총정리 ⚖️
월급 가압류, 차압 당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? 현실적인 대응 방법 총정리 ⚖️
급여는 생계를 유지하는 필수적인 재산이지만, 채무 불이행 등의 이유로 가압류 또는 차압을 당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월급이 가압류되면 최소한의 생활비조차 확보하기 어려워 심각
truerichway.com
'트루리치웨이 경제전략실(월급관리, 재테크 실전 팁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“2025년 9급 공무원 월급표 총정리|기본급부터 실수령액까지!” (1) | 2025.03.09 |
---|---|
“연봉 3,000만 원과 5,000만 원, 실수령액 차이는 얼마나 될까?” 💰 (0) | 2025.03.09 |
“2025년 최저임금 실수령액은 얼마? 직장인 실제 월급 계산법” (1) | 2025.03.08 |
“직장인 종잣돈 1,000만 원 모으는 법|저축 루틴 공개” (1) | 2025.03.08 |
“재테크가 어렵게 느껴진다면? 초보자를 위한 금융 기초 완전 정리” (2) | 2025.03.08 |